목록실적 (5)
-

국내 인터넷 업계의 대표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2019년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두 기업 모두 창사이래 최대 매출을 기록했는데요. 네이버는 6조원의 매출을 돌파했고, 카카오는 3조원의 매출을 돌파했습니다. 네이버 카카오 매출 6조 5934억원 (18% 증가) 3조 898억원(28% 상승) 영업이익 7101억원 (24.7% 감소) 2066억원(183% 상승) 순수익 3968억원 (36.8% 감소) 3398억 적자(적자전환) 2019년 네이버 실적 정보 2019년 네이버는 최초로 6조원대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2019년 네이버는 6조 5934억원의 매출, 7101억원의 영업이익, 396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전년대비 18% 증가, 영업이익은 저년대비 24.7% 감소, 당기 순이익은 36...

국내 통신사들이 지난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5G 시장에서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하고 있는 통신사들이 2019년 4분기를 어떻게 마무리 했을지 들여다봤습니다. SKT 2019년 실적 SKT는 2019년 연매출 17조743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 이익은 1조 1100억원, 순이익은 861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연간 기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5.2% 증가한 수치인데요. 통신 사업을 넘어 미디어, 보안 같은 신사업의 성장과 5G 서비스 확대에 힘입은 모습입니다. 반면 영업이익은 작년 대비 7.6%, 순이익은 72.5%나 감소한 수치입니다. SKT는 MNO(이동통신사업) 부분의 매출이 감소세에 들어서고 있었는데요. 2019년 SKT의 이동통신 사업 부문 매출은 11조 416..

실리콘 밸리의 테크 공룡들이 2019년의 실적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그 중, GAFA(Google, Apple, Facebook, Amazon) 기업들이 가장 주목을 많이 받고 유명한 테크 기업으로 손꼽히는데요. 이들 기업의 2019년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구글(Google) 2019년 4분기 실적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은 지난 2월 3일(현지시간) 2019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알파벳 전체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7% 증가한 460억 7500만 달러, 약 54조 9167억원을 기록했으며 순이익은 106억 7100만 달러, 약 12조 718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주당 순이익은 12.53달러) 구글(알파벳)은 이번에 유튜브 광고와 클라우드 사업부문 매출액도 공개했는데요. 유튜브 광고 매출은 전년..

마이크로소프트와 페이스북이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두 기업 모두 월스트리트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2019 4분기 실적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2020년 회계연도 2분기(한국 기준 2019년 4분기)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지난 분기 매출은 369억 달러, 약 43조 7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14% 증가한 수치이며 영업이익은 35% 증가한 139억 달러, 약 16조 5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순이익은 38% 증가한 116억달러, 약 13조 7000억원을 기록했으며, 주당순이익(EPS)은 1.51달러로 작년 대비 40%나 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런 호실적은 클라우드 사업 부문의 가파른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마이크로소프..

한때 파산설이 돌 정도로 어려웠던 테슬라가 깜짝 반전을 일으켰다. 3분기 실적 발표 시즌을 맞이하여 미국의 테크 기업들이 속속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테슬라의 3분기 실적이 생각보다 좋게 발표되었다. 이에 실적 발표 이후 테슬라의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20% 넘게 상승했다. 테슬라의 깜짝 실적 애널리스트들은 테슬라의 3분기 실적이 주당 46센트 가량 순손실이 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1, 2분기 순손실을 기록했던 테슬라는 3분기에 깜짝 흑자전환을 하여 주당 1.86달러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 시장의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으로 올해 23% 하락했던 테슬라의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20%가량 급등했다. 테슬라의 3분기 매출은 63억달러로 약 7조 3754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대비 7.6% 하락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