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가계부채 증가속도 세계 2위 본문
국제결제은행(BIS)이 전 세계 주요 43개국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1분기 대비 2019년 1분기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3.9%에서 92.1%로 8.8%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40.2%에서 53.6%로 13.4% 포인트 늘어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 기간 동안 43개국의 평균 가계부채 상승률은 0.5% 포인트이며 신흥시장 평균은 7.1% 포인트로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율이 이들 평균값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20 국가들의 평균 값은 0.8% 포인트에 불과했다. 다른 국가에 비해서도 굉장히 가파른 상승세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대한민국의 가계부채가 가파르게 증가한 첫 번째 원인으로 부동산이 꼽혔다. 지난 9.13 대책 이후 안정되는듯 했던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 하반기들어 다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에 높아진 주택을 구입하기위한 대출이 증가하면서 가계부채 총량이 증가했다는 지적이다.
주택 시장으로 가계의 자금이 몰리면서 부동산 시장과 얽혀있는 가계부채문제가 더 심화되지 않을까 걱정이 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개인 사업자들이 빚을 내면서 가계부채를 늘리는데 한몫보탰다. 영세 자영업자의 경우 대출을 받게되면 가계부채로 포함된다. 국내 은행의 가계 대출 잔약은 2015년 12월 54조 4000억에서 2018년까지 매년 9.8% 가량 상승해왔다.
이처럼 높아진 가계부채에 가계는 원리금 상환 부담이 증가하게되었고 결국 씀씀이를 줄여 경기가 더 나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안그래도 침체되어 있는 경기에 대한 희망이 줄어듦을 의미하며, 나아가서는 경제 성장을 제약하는 심각한 문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경제 공부 >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라인드 지수] 2019 대한민국 직장인 행복도 (0) | 2020.01.29 |
---|---|
토스뱅크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획득, 제3 인터넷 은행 코앞 (0) | 2020.01.06 |
현대자동차 2019년 전세계 전기차 제조업체 순위 3위 등극 (0) | 2019.12.31 |
2019년 전세계 유튜브 수익 순위 TOP 10 - 1위는? (0) | 2019.12.24 |
배달의 민족-요기요(딜리버리 히어로)와 합병, 아시아 시장 진출한다 (0) | 2019.12.16 |